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ep.1 나불거림7

대학교 교직원 연봉과 교직원 공제회 복지 혜택, 당신이 몰랐던 모든 것! 😃 대학교 교직원들은 단순한 행정 지원을 넘어 교육의 핵심 구성원으로, 안정적인 연봉과 다양한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특권 계층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학교 교직원의 연봉 구간별 분포, 직급 체계 및 승진 기간, 연봉별 사학연금 공제율, 그리고 교직원 공제회에서 제공하는 대출·예약·쇼핑 등 다양한 복지 혜택을 심층 분석합니다. 또한, 향후 사학연금 수령 전망과 운용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 내 주요 대학들의 연봉 데이터와 최근 신입 연봉 추이를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  1. 교직원 연봉 구간별 분류대학교 교직원의 연봉은 보통 2,000만원대, 3,000만원대, 4,000만원대로 구분됩니다. 아래 표는 한국에 위치한 대학교의 교직원 연봉 구간별 현황을 예시로 정리한 것입니다. 연봉 구간주요 직급/.. 2025. 3. 21.
대학교 교직원은 점심을 어떻게 해결할까? 안녕하세요:) 교언니입니다!  오늘은 무슨 주제로 글을 작성할까 한참을 고민하다 '대학교 교직원은 점심을 어떻게 해결할까?'라는 주제를 작성하기로 하였어요. 평범한 직장인인건 여러분과 다 똑같아요. 다만 일반회사에 사내식당, 구내식당이 있듯이 학교라는 특성에 따라 학생식당 혹은 교내식당이 있는데요. 비용은 학교마다 천차만별 다르고 퀄리티도 학교마다 차이가 조금씩 있어요. 우선 교직원이라고 해서 별도 할인이 있거나 그러지는 않아요! 다만 일반 식당에 비해 조금 저렴하게 식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양, 퀄리티는 조금 기대하지 않는게 좋은 것 같아요? 하핫 ^^;; 현재 재직중인 학교는 제법 이름이 있는 학교로 학생수가 많습니다. 그렇다보니 점심시간에 식당을 가면 항상 바글바글하고 줄도 엄~~청 길어.. 2025. 3. 14.
사립 대학교 교직원을 꿈꾸는 분들에게 드리는 면접 & 이직 꿀팁 반갑습니다 😊사립 대학교 교직원을 꿈꾸는 분들에게 제가 느낀 면접과 이직 꿀팁을 전해보고자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글을 작성하기에 앞서 "왜 대학교 교직원이 되고 싶은가요?"라는 질문을 던져 보고 싶은데요. 과거 교직원은 '신의 직장이다. 선택 받은 자만이 가능하다'는 웃픈 말이 돌 정도로 정규직 입사가 어려운 직업군 중 하나였고 지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요. 다만 제 생각으로는 다른 의미로 말이죠. 대학교라는 회사는 개인적으로 참 '아이러니'한 집단이라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이유인즉, 대학교라는 회사는 변화하는 시대에 걸 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과 혹은 학부를 만들고, 인가를 받아 교육을 하려고 합니다. 무한경쟁시대에 접어들었기에 살아 남기 위한 당연한 수순이죠. 하지만 여전히 고용형태 및.. 2025. 1. 20.
ep2. 대학교직원에서 교직원으로 재이직을 준비하다. 안녕? 친구들.오늘 티스토리 블로그에는 이직을 준비하게 된 계기와 과정을 남겨보고자 해. 바로 어제 있었던 일이라 아주 따끈한 소식이거든. 먼저 내 소개를 하자면 나는 서울 내 중경외시 라인 중 한 곳에서 정규직으로 근무하고 있어. 운이 좋게 입사를 하게 되었지만 내가 생각하던 업무가 아니여서 사실 많은 혼란과 고민 속에 이직을 해보자는 결정을 내리게 되었어. 누군가는 "얼마 해보지도 않고, 너무 성급한 결정하는거 아니야?"라고 이야기 할 수 있지만 단순하게 직무가 마음에 들지 않았다면 고민하지도 않았을거야. 하지만 사내 분위기, 업무 방식, 업무 처리 방식 등 "어?"라고 느끼는 부분들이 여럿 있었고 은근한 텃세와 기 죽이기가 여기서는 오래 근무해도 나아지지 않겠구나는 생각이 많이 들어서 결정하게 되었.. 2024. 11. 8.
ep1. 대학교 교직원 채용 준비과정 및 면접 과정 '공유' 반가워, 친구들.대학교 교직원 장점과 단점을 시리즈 별로 작성해서 올렸는데 글의 가독성이 약간 떨어지더라도 이해해줘. 이번에는 대학교 교직원 채용 준비과정 및 면접 과정에 대한 내용을 공유해보고자 해. 나는 서울권 4년제 대학에서 일하고 있어.집에서 거리가 멀지만 뭐 어쩌겠어.. 내가 선택한 길인걸..     바로 본론으로 들어갈게. 대학교직원 채용 공고는 다양한 사이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가장 좋은건 내가 희망하는 대학 홈페이지를 들어가는거야. 접속하면 보통은 공지사항 혹은 공지사항 내 채용 게시판이 별도로 있는데 그 부분을 참고하면되고 네이버카페 공취사 혹은 대학교직원신문이라는 사이트를 통해 공고문을 확인할 수 있어. 채용 과정은 정규직, 계약직에 따라 달라. 정규직은 요구하는 조건이나 경력이 .. 2024. 10. 17.
ep.1 / 대학교 교직원이 전하는 대학 이야기 2탄 (단점 위주) 반가워, 친구들. 1탄 대학교 교직원이 전하는 대학이야기 1탄 장점편은 잘 봤어?이번에는 2탄으로 1탄에 적은 내용을 기반으로 단점을 적어보려 해. 대학교 교직원에 대한 환상이 너무 많으면 실망도 큰 법이거든~ 우선 단점이라 느낀 건 많지만 최대한 간결하고, 차분하게 적어볼게.왜냐면 내 화딱지 버튼이거든 ^^;;  그럼 본격적으로 시작해 볼게~ ① 신분에 따른 복지 차이나는 계약직 신분으로 2년 간 전 직장을 다녔어.내가 2년간 받은 건 성과급 1번이 전부야.전 대학은 계약직은 명절에 보너스나 선물도 안주더라ㅎㅎ근데 정규직은 월급의 최하 100% 이상 가져가더라. 그리고 복포나 후생지원금 같은 것도 정규직들은연 3백만원씩 사용 가능하고, 상여금 등 알게 모르게 많아. 그래서 정말 서러워. 아닌 학교도 있.. 2024. 10. 17.
반응형